고미술산책로

불기자심(不欺自心), 우리는 국토는 작았어도 역사는 깊었던 문화민족입니다.

고문서, 간찰

농계 이수언 간찰 1

學而齋 2011. 3. 3. 19:49

청주지역 한산이씨의 대표적인 인물인 이수언(李秀彦)의 간찰입니다. 

이수언 1636(인조14)~1697(숙종23)

자는 미숙(美叔), 호는 농계(聾溪)·취몽헌(醉夢軒), 시호는 정간(正簡), 목은 이색(李穡)의 후손, 관찰사 동직(東稷)의 아들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. 1650년(효종 1) 사마시(司馬試)를 거쳐 1669년(현종10) 정시문과(庭試文科)에 을과(乙科)로 급제, 예문관(藝文館)의 벼슬을 거쳐 정언(正言)·지평(持平)을 지냈다. 1681년(숙종 7) 응교(應敎)에서 경상도 관찰사로 특진된 뒤 승지(承旨)·대사간·대사헌 등을 역임했다. 1689년(숙종15)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노론(老論)으로서 이산(理山)에 유배되었다가 1694년 갑술옥사(甲戌獄事)로 풀려나와 형조 판서에 올랐다. 이어 대사헌으로 소론(少論) 오도일(吳道一)을 탄핵하다가 전라도 관찰사로 좌천, 그 후 예조 판서·판윤(判尹)·우참찬(右參贊)을 거쳐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로 죽었다. 청주(淸州)의 국계사(菊溪祠)에 제향(祭享).

 

 

 

'고문서, 간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도암 이재(李縡)의 간찰  (0) 2011.03.22
김성발의 간찰  (0) 2011.03.22
한글 간찰  (0) 2011.03.06
병계 윤봉구 간찰  (0) 2011.03.03
성담 송환기 간찰 1  (0) 2011.03.01